
투포인터 알고리즘이란 주어진 배열에서 연속합을 이용한 문제일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보통 연속합으로 가능한 경우의 수를 구하거나, 그 길이를 구하거나 할때 사용된다. (대표문제 참고) start, end라는 변수를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하며 sum(arr[start:end])을 구하는 방법이다. 처음에 start = end = 0으로 시작하고, start arr[start:end]) 예를들어 배열의 연속합이 S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에서는 무한루프를 돌며 sum이 S보다 작은 경우: sum += arr[++end] sum이 S와 같거나 클 경우: sum -= arr[start++] 를 해준 후, 무한루프는 start == end == len(arr)이 되면 빠져나온다. 저장할때는 파이썬의 s..
이론공부
2020. 12. 11. 04:32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코틀린 뷰바인딩
-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오류
- 전화번호목록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 counting sort
- 투포인터 알고리즘
- 백준 1644
- 코틀린 데이터바인딩
- kotlin fragment
- 코틀린 리스트뷰
- flutter simultor
- Kotlin
- 안드로이드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 투포인터 알고리즘 파이썬
- TextFormField keyboard
- 시뮬레이터 키보드
- 안드로이드
- 백준
- 백준 2003
- 데이터바인딩 뷰바인딩 차이
- 카카오 기출
- 백준 1806
- 코틀린 뷰페이저
- 코틀린
- 백준알고리즘
- 소수 구하기 파이썬
- 안드로이드 키해시
- 카카오 키해시
- 파이썬 최대공약수
- 코틀린 바텀네비게이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