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드디어 이번 앱 개발의 끝이 보인다
햄버거에 현재 앱의 버전을 띄우는 방법을 찾아봤다.
공식 문서를 보니 버전 종류에는 두개가 있는데
versionName는 유저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 versionCode는 내부 버전 정보 라고 한다.
1. versionCode - 양의 정수, 내부 버전 정보.
어떤 버전이 앞선건지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숫자가 높을 수록 더욱 최신에 가까운 버전이다
유저에게 보여지는 정보는 아니고, 지금 깔려있는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apk가 설치되는 실수를 막기 위함
어떤 숫자(양의 정수)로든 설정해도 되지만, 직전에 출시한 버전보다는 높은 숫자로 설정해줘야한다. 플레이스토어에 올릴 경우 이전에 올린 버전보다 낮은 숫자의 버전은 올릴 수가 없음
보통은 첫 versionCode를 1로 설정하고 출시한 후 새 버전 릴리즈마다 조금씩 증가시킨다(큰 변화든, 작은 변화든 상관없이)
versionName처럼 major/minor update를 구분해서 숫자를 증가시키는것이 아님
(versionCode의 최대값은 2100000000이라고 하니 큰 신경안써도 문제없을듯)
2. versionName - 문자열 형태, 유저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
아래의 규칙대로 증가시키면 된다.
앱 버전 설정하는 방법
build.gradle (app)에서 defaultConfig안에 있는 versionCode와 versionName부분을 수정 해 주면 된다.
defaultConfig {
applicationId "appNAme"
minSdkVersion 26
targetSdkVersion 28
versionCode 1
versionName "1.0.0"
testInstrumentationRunner "androidx.test.runner.AndroidJUnitRunner"
}
앱 정보 받아오기
설정한 앱 버전을 액티비티에서 불러오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var versionName = BuildConfig.VERSION_NAME
참고한 포스팅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publish/versioning
앱 버전 관리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버전 관리는 앱 업그레이드와 유지 관리 전략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developer.android.com
https://tadomstudio.tistory.com/54
[안드로이드 / android] APK Version, App Version 설정 및 값 받아오기
앱 버전 설정하는 방법 build.gradle에 아래와 같이 versionCode와 versionName을 적어줍니다. android { ... defaultConfig { ... versionCode 1 versionName "1.0.0" } ... } 항상 두 가지 설정..
tadomstudio.tistory.com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오류
- 프로그래머스
- 카카오 키해시
- 백준알고리즘
- 안드로이드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 코틀린 데이터바인딩
- 소수 구하기 파이썬
- 백준 2003
- 코틀린 뷰페이저
- 코틀린
- 백준
- counting sort
- 코틀린 바텀네비게이션
- 백준 1806
- 백준 1644
- 카카오 기출
- 투포인터 알고리즘 파이썬
- 안드로이드
- 안드로이드 키해시
- 코틀린 뷰바인딩
- 코틀린 리스트뷰
- 전화번호목록 파이썬
- Kotlin
- 투포인터 알고리즘
- 파이썬 최대공약수
- 시뮬레이터 키보드
- 데이터바인딩 뷰바인딩 차이
- TextFormField keyboard
- flutter simultor
- kotlin fragmen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