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pjl3/btqGted2UAl/4dyUTKyvsbEwAQQibZEIKK/img.png)
문제 15652번: N과 M (4)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 www.acmicpc.net 풀이 중복조합 nHr을 구하기 위해서는 itertools의 combinations_with_replacement를 사용하면 된다. import sys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_with_replacement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li = [] for i in range(1,N+1): li.append(i) for each in list(combination..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Ot7P/btqGtekM8AF/UzNGjf5ab5AvfqKhsAooD0/img.png)
문제 15651번: N과 M (3)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 www.acmicpc.net 풀이 중복을 허용하는 순열을 구하기 위해서는 itertools의 product를 사용해야한다. product(리스트, repeat=n) import sys from itertools import product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li = [] for i in range(1,N+1): li.append(i) for each in list(product(li, repeat=M)): for nu..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jYWe/btqGvbnjsrg/k24Pa8x8mMNOktdyXTTDL0/img.png)
문제 15650번: N과 M (2)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 www.acmicpc.net 풀이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한다는 점에서 N과 M(1) 문제와 차이가 있다. 즉, 오름차순이 아닌 순열 (예. 1 2 4 3)은 다 프린트하지 말아야한다. 따라서 조합으로 풀었다. import sys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li = [] for i in range(1,N+1): li.append(i) for each in list(c..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w12ON/btqGyxbDp1P/hHgiAxkunjugs7Z7JBlWZ1/img.png)
문제 15649번: N과 M (1)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 www.acmicpc.net 풀이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번 출력하면 안된다해서 조합인줄 알았는데 그 의미가 아니었다. 따라서 itertools의 permutations로 풀었음 import sys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li = [] for i in range(1,N+1): li.append(i) for each in list(permutations(li, 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QZMwZ/btqGxlCLuOF/3nsABw1LQCntPiXfFnDM21/img.png)
문제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 (1 ≤ N ≤ 1,000, 0 ≤ M ≤ N×(N-1)/2)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어진다. (1 ≤ u, v ≤ N, u ≠ v) 같은 간선은 한 번만 주�� www.acmicpc.net 풀이 인풋을 인접 리스트에 저장하고, dfs로 탐색하는 방법으로 풀었다. import sys # V: vertex, E: edge V, E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dj = [[] for _ in range(V)] visited = [0 for _ in range(V)] stack = [] def dfs(): while stack: x = st..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qPBnq/btqGtDR8gBa/IiggIZIL3ZEZvwbvkLdeKk/img.png)
문제 1012번: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 www.acmicpc.net 풀이 bfs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풀었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T = int(input()) dr = [-1, 1, 0, 0] dc = [0, 0, 1, -1] def bfs(x, y): queue = deque() queue.append([x,y]) field[x][y] = 2 while queue: now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dr = now[0] + dr[i] n..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8piM/btqGmP6qTi6/SyH97dhpupnkUYsz1Mzvl0/img.png)
문제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들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 www.acmicpc.net 풀이 bfs를 활용해서 풀었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field = [[0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dr = [-1, 1, 0, 0] dc = [0, 0, 1, -1] for i in range(N): line = sys.stdin.readline() for j in range(N): field[i][j] = int(line[j]) ..
문제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풀이 flag를 둬서 이전 숫자와 다를경우 카운트를 하나씩 늘려주는 방식으로 풀었다. (flag 초기값:0) 0을 처리하기 위해 인풋은 숫자로 안바꾸고 스트링 그대로 받았다. 코드 T = int(input()) for test_case in range(1, T + 1): count = 0 flag = "0" num = input() for j in range(len(num)): if num[j] != flag: count += 1 flag = num[j] print("#" + str(test_case) + " " + str(count))
- Total
- Today
- Yesterday
- 백준 1644
- 코틀린 데이터바인딩
- 안드로이드 키해시
- 코틀린 바텀네비게이션
- 파이썬 최대공약수
- 안드로이드
- 백준
- 투포인터 알고리즘 파이썬
- 투포인터 알고리즘
- 소수 구하기 파이썬
- 코틀린 리스트뷰
- TextFormField keyboard
- 안드로이드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 코틀린 뷰페이저
- 코틀린 뷰바인딩
- 백준 1806
- 코틀린
- Kotlin
- 카카오 키해시
- 데이터바인딩 뷰바인딩 차이
- kotlin fragment
- 백준알고리즘
- 시뮬레이터 키보드
- 카카오 기출
- counting sort
- flutter simultor
- 전화번호목록 파이썬
-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오류
- 백준 2003
- 프로그래머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